일상적 방조와 묵인의 사회적 악경험
사회악의 정점에 단순한 주모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언제나 평범한 개인들의 방조와 묵인이 함께 얽혀 사회적 악이 형성되는 환경이 조성된다. 특히 '미투 운동'이 촉발되기 전, 예술·체육계에서 이러한 문제가 어떻게 드러났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일상적 방조의 심각성
사회적 악의 하나로 지목되는 일상적 방조는 감춰진 현실에서 발생하는 일입니다.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작은 행동이나 묵묵한 방관이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특히, 예술 및 체육계에서는 다양한 소문과 사건이 오랜 시간 동안 덮여져 있었고, 이러한 묵인 덕분에 지속적으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방조의 예로는, 주변에서 일어나는 불미스러운 사건에 대해 눈을 감거나 입을 다물며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는 사람들의 태도를 들 수 있습니다. 예술계에서는 뛰어난 능력을 가진 개인들이 그들의 권력을 남용하여 사회의 약자들을 괴롭히는 경우가 많았고, 이를 걱정하며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은 소수에 불과했습니다. 이러한 소수의 반응이 쌓이지 않고 묵인되는 동안, 더 많은 피해자들이 발생해왔던 것입니다. 또한,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있는 보편적인 '정서적 습관'마저 문제가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괜찮아', '그럴 수도 있어'와 같은 태도로 잘못된 행동을 무마하고, 이를 통해 감정적으로 상처받은 피해자들은 고통을 고스란히 안고 살아가게 됩니다. 이러한 일상적 방조는 결국 사회적 악이 더욱 자생적으로끔 조장되는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묵인의 문화: 조용한 동조
또 다른 측면에서 묵인의 문화는 강력한 사회적 악을 형성합니다. 묵인은 특정 행동이나 상황에 대한 침묵, 즉 동조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때로는 더 나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조용히 기다리는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술계에서도 뛰어난 인물들의 힘이 미치는 곳에서는 불합리함이 존재하더라도 얼굴을 찡그리며 고개를 숙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특히, 직장 내 성폭력이 드러났을 때, 묵인하는 분위기가 형성됨으로써 가해자는 더욱 대담해지고 피해자는 더욱 고립되기 쉽습니다. 예술계를 포함한 각종 분야에서, 잘못된 행동에 대해 ‘그냥 넘어가자’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피해자들에게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안겼습니다. 문화적 맥락에서 ‘묵인’은 전통적으로 잘못된 행위를 숨기기 위한 방법으로 자리 잡아왔기에, 많은 사람들은 피해자의 목소리를 듣기보다는 침묵으로 대응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묵인의 문화는 피해자들에게 '너도 문제'라는 메시지를 전달하여 더 큰 아픔을 만들어낸 것입니다.공모: 침묵의 피해자들
마지막으로, 공모의 개념을 들여다보면, 이는 단순히 사건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여 형성된 악의적 행위를 더욱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예술이나 체육의 경계에서 우리가 자주 마주치는 힘의 교란은 가공지배와 권력의 상징적인 문제를 수반합니다. 사회의 약자로서 피해자들은 가해자와 그를 옹호하는 주변 인물들 간의 암묵적인 동의와 협력의 원리 아래 자신이 처한 끔찍한 상황을 벗어나기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공모는 그들의 침묵이 결국 고통의 연대성을 갖게 하는 구조적 요소로 작용합니다. 피해자들이 정당한 요구를 하는 것조차 사회적 맥락에서 불법인 것처럼 여겨지면서, 이제는 명확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도달했습니다. 공모는 일회적인 사건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문제가 됩니다. 피해자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더 이상 침묵을 선택할 수 없는 구조를 만들어야 하며, 사회 구성원 모두가 이를 인지해야 합니다. 공모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공동체로서의 연대와 지지가 필수적입니다.결론적으로, 사회악의 복잡한 맥락 속에서 일상적 방조와 묵인, 공모의 문제를 다시 한 번 되짚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악은 결코 우연히 발생한 것이 아니며, 누구나 그 형성에 무관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목소리를 내고, 서로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를 이끌어야 할 때입니다. 우리가 겪고 있는 이 고통이 더 나은 내일로 나아가기 위한 전환점이 되어야 하며, 모든 개인이 ‘침묵’이 아닌 ‘소통’을 선택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